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📌 희망플러스 특례보증 제도 안내 (2025년 기준)
✔ 제도 개요
희망플러스 특례보증은 코로나19 피해 또는 매출 감소 등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중·저신용 소상공인을 대상으로, 정부와 신용보증기관이 협약하여 전액 보증을 제공하는 정책자금 지원 상품입니다.
✔ 신청 대상



- 신용점수 745~859점의 중·저신용 개인사업자
- 코로나19 피해로 손실보전금 또는 방역지원금을 수령한 자
- 매출 감소가 객관적으로 확인되는 개인사업자
- 기존 희망대출플러스 등 유사 정책자금 미수령자
✔ 주요 지원 내용



항목 | 내용 |
---|---|
보증한도 | 최대 2,000만 원 ~ 5,000만 원 |
보증비율 | 최대 100% 전액 보증 |
금리 | 연 3~4% 이내 (이차보전 포함 시 실질금리 낮아짐) |
상환 방식 | 1년 거치 + 4년 분할 상환 (총 5년) |
보증기관 | 지역신용보증재단, 신용보증기금 등 |
대출 은행 | 국민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, 농협은행 등 협약은행 |
✔ 신청 절차



- 자격 확인
- 국세청 홈택스 또는 금융 플랫폼(신한 SOL 등)에서 손실보전금 수령 여부, 신용점수 확인 - 신청 접수
- 금융사 앱 또는 지역신용보증재단에서 신청 가능
- 일부 지자체는 오프라인 접수센터(서울·경기 등)도 운영 - 보증심사
- 사업자등록증, 매출자료, 세금 납부 자료 제출
- 신용도 평가 후 보증한도 산정 - 보증서 발급 및 대출 실행
- 승인 시 협약은행에서 대출 실행
- 승인~실행까지 통상 1~2주 소요
✔ 유의사항



- 과거 희망대출플러스, 소상공인 1·2차 대출 수령 이력자 등은 중복 제한 가능성 있음
- 일부 지역은 손실보전금 미수령자라도 매출 감소 증빙만으로 신청 가능
- 법인사업자는 원칙적으로 대상에서 제외됨
✔ 신청 팁 요약


- 신용점수 745점 이상 확인 필요 (KCB, 나이스 등 조회)
- 손실보전금 수령내역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확인 가능
- 지역 신용보증재단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세부 공고문 확인 필수
- 접수 초기 혼잡 가능성 있어 예약제 운영 여부 확인 필요
✔ 제도 지속 여부


해당 특례보증 제도는 2025년 현재 기준으로도 여전히 유지 및 신청 가능한 정부지원 사업입니다.
반응형